읽기만 하니까 진행이 안되길래
글로 정리하면서 실행해보는 중
최종참고문서
https://docs.draftbit.com/docs/supabase
Connect Supabase to Draftbit - REST API Documentation
Using REST API, connect your Supabase back-end to Draftbit.
docs.draftbit.com
참고문서, supabase 것 따라하다가 중단...
이유? 자료 업데이트가 안되어있음
https://supabase.com/partners/integrations/draftbit
https://supabase.com/partners/integrations/draftbit
Draftbit is a "pro-code" low-code mobile app building platform. Draftbit exports React Native source code that is 100% run on open-source languages and libraries. This guide explains how to connect a Supabase back-end to a Draftbit front-end and then confi
supabase.com
이 문서 순서대로 해보기
먼저,
예시처럼 supabase에 table 만듦.


생성된 테이블에 예시처럼 샘플 세개 넣어보기! Insert -> row 로 Milk, Cheese, Peanuts 넣어줌.


1단계
supabase 좌측 메뉴 중 도구모양 선택하면 API 확인할 수 있음.
여기 3번에 있는 URL Draftbt에 넣어줘야 함.

2단계
설명에서는 Project setting에 App Variables가 있다고 하였지만,


실제론 Variables에 있었다.
Draftbit 설정 단계
Supabase API 키를 Draftbit의 인증 헤더로 저장하기
Supabase 설정에서 API key 복사해와서
Draftbit 변수(Variables)에 넣어주기.
Draftbit에 Supabase RESTful 엔드포인트 추가
도메인 이름은 알겠는데,
뒤에 /rest/v1 은 왜 붙는거지? RESTful이라서?
왜.. 왜붙이는건데요?
그리고 여기는 2번이 Base고,
key값이.. Api_Key_Header는 저장한적이없는데
나 .. 뭔가를 놓치고있나.
Making API requests with Supabase & Draftbit
하란대로 다 넣었는데
이유를 찾음
Supabase에서 보안 설정을 바꿔줘야함.
테이블 우측에 점 세개 눌러서
View Policies > Enable RLS >
그럼 테이블명 옆에
자물쇠가 풀린 게 보임~!~!~!
결과
따라란~!~!
성공했다.
fetch
데이터 하나만 가져오기
GET single record
Role:Get one
/테이블명?select=*&id=eq.{{id}}
이런건 왜 이렇게 정해지는 걸까?
데이터 3개 밖에 안만들었는데 갑자기 왜 29?
3으로 하면 잘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