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는지 틀린지 모르는 코알못이지만
매뉴얼 읽어야해서 공부중
오늘 공부는
💜 VARIABLES 💜
일단 초등학생 수준으로 설정..
변수란 무엇인지 설명해드릴게요!
변수(variable)는 정보를 저장하는 상자라고 생각해봐요.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할 수 있게 해줘요. 여러 종류의 변수가 있는데, 이 글에서는 네 가지 타입의 변수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요.
앱 변수(App Variables): 앱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에요. 앱이 재시작될 때마다 이 변수는 기본값으로 다시 설정돼요. 이 변수는 주로 앱 전체에 영향을 주는 상수나 에러 메시지, 모달 상태와 같은 앱 전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돼요.
디바이스 변수(Device Variables):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변수에요. 앱이 재시작될 때마다 이 변수는 기본값으로 초기화되지 않고, 마지막에 저장된 값이 사용돼요. 주로 로그인 후 인증 토큰과 같이 세션 간에 유지되어야 하는 사용자별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돼요.
화면 변수(Screen Variables): 화면에 연결된 변수에요. 앱이 재시작되거나 화면이 네비게이션 스택에서 제거될 때마다 이 변수는 기본값으로 재설정돼요. 주로 폼의 다양한 입력 구성 요소와 관련된 화면별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돼요.
시스템 변수(System Variables): 시스템이 미리 정의한 값이 있는 변수에요. 예를 들어 온라인 여부, iOS 여부, 디바이스 너비와 같은 값을 가지고 있어요.
이렇게 변수를 사용하면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어요!.
변수를 만드는 방법과 JSON 데이터 형식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변수 생성하기
변수를 만들려면 먼저 상단 메뉴에서 "Variables" 모달을 열어야 해요. 이 모달에서 새 변수를 만들고 설정할 수 있어요. 여기서 변수를 만들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요.
JSON 데이터 형식
Draftbit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변수는 유효한 JSON 데이터로 할당될 수 있어요. JSON 데이터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 무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요.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값이 올바른 JSON 형식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문자열(Strings): "Hello World"와 같이 따옴표로 둘러싸인 텍스트입니다.
숫자(Numbers): 99, 3.33와 같이 숫자입니다.
부울(Booleans): true나 false와 같이 참 또는 거짓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객체(Objects): {"name": "Dave"}와 같이 중괄호로 둘러싸인 키와 값 쌍의 집합입니다. 중첩된 객체도 가능합니다.
배열(Arrays): ["violet", "indigo"]와 같이 대괄호로 둘러싸인 값의 목록입니다. 객체나 다른 배열도 포함될 수 있어요.
이렇게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변수에 할당할 수 있어요. 필요한 데이터에 따라 변수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어요!
추가
JSON 형식이란?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입니다. 이것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교환하기 위한 경량의 데이터 형식입니다. JSON은 일반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이 읽고 쓰기 쉽고 기계가 분석하고 생성하기도 쉽습니다.
JSON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됩니다: